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소설

이름:김언수

성별:남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72년, 대한민국 부산

직업:소설가

최근작
2020년 7월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

이 저자의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book...
1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후애(厚...
2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syo
3번째
마니아

설계자들

인간은 누구나 이 우주만큼 복잡하고 신비로운 존재다. 내가 만난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복잡했고 내가 만날 모든 사람들이 그렇게 신비로울 것이다. 하마터면 그 복잡함과 신비로움을 그냥 지나칠 뻔했다. 청년 시절 나는 함부로 단정 짓고, 비판하고, 화내고, 미워했다. 그러고도 자신이 옳다고 믿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숲의 무뚝뚝한 나무들은 아무것도 단정 짓지 않는다. 아무도 배제하지 않고, 아무도 자신의 뜻대로 왜곡하거나 변형시키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숲은 이 낱낱이 복잡한 모든 것들을 한자리에 같이 서 있게 하는 방법을 안다. 이 숲이 누구에게도 친절하게 문을 열어주지 않는 것은 단 한 번도 문을 닫아본 적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 숲의 당당한 무뚝뚝함은 그것 때문이다. 다시 밤이 오고 나는 노트북에 전원을 넣는다. 그리고 습관처럼 숲을 거닌다. 한밤중의 이 고요한 숲을 거닐고 있으면 내가 몹시 외로움을 타는 인간이라는 것을, 그래서 외로움의 힘으로 사람을 사랑하는 인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나에게 사람을 사랑하는 재능이 있다는 것을, 열렬히 그리워하는 재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게 아마 내가 가진 재능의 전부일 것이다. 하지만 소설을 쓰기 위해서 필요한 재능은 그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소설이 인간에 대한 이해라고 배웠고 여전히 그렇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그를 사랑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세상을 향해 멋지게 냉소를 날리는 것이, 실험적이고 참신한 작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사랑하는 힘이 바로 문학이라는 것을 나는 이제야 안다. 다행이다. 모두 다 이 숲의 덕택이다. 그리고 여전히, 나에게, 사람을 사랑할 힘이 있다는 것도 안다. 다행이다. 참 다행이다. 그러니 충분하다. 이 숲을 거닐고, 더 외로워져야겠다.

이 책에 실린 단편들은 주인공의 나이 순서대로 묶여 있다. 그러니까 첫번째 단편 「잽」에서 세상에 대해 화가 잔뜩 나 있는 소년의 나이는 열일곱이고 마지막 단편 「하구(河口)」에서 모든 걸 잃고 강을 따라 바다 입구까지 도망을 온 알코올중독자의 나이는 마흔셋이다. 기형도식으로 말하자면 여공들의 얼굴은 희고 아름다우며, 소년은 무럭무럭 자라서 알코올중독자가 된다는 식이랄까. 하지만 나는 이 배열이 좋다. 어떤 방식으로든 우리는 모두 늙어가고 있으니까. 그리고 소년 시절에 내가 가졌던 분노는 점점 옅어져가고 있고, 좋은 햇살 아래서 졸음처럼 피식피식 웃는 날들은 더 많아졌으며, 덩달아 술병도 점점 늘어가고 있으니까.

캐비닛

'13호 캐비닛'에 대해 굉장한 상상을 할 필요는 없다. 혹시라도 이 책을 끝까지 읽어볼 생각이라면 '13호 캐비닛'에 대해 우아하고 낭만적인 상상을 떠올리는 짓은 일찌감치 집어치우기를 권한다. 그런 상상을 한다면 당신이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하를 보게 될 것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