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에세이

이름:오동걸

성별:남성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38년, 일본 오사카 (사수자리)

최근작
2018년 11월 <[POD] 답싸리 바주 아래 병아리들 노닐고>

오동걸

오사카에서 태어나 유치원을 다니다가 해방을 맞았다. 평양으로 들어와 지주의 아들이 되었다. 열세 살 까지는 아버지의 철공 기술을 보고 자랄 수 있었다. 인민학교에서 김일성 노래를 배우다가 전쟁을 만났다. 열세 살 나이로 피난길을 혼자 떠나게 되었다. 남길 수 있는 말은 하나도 없었다. 이남으로 가는 사람들을 보고 이남을 큰 도시로 생각하였다. 목포에서는 교복 입고 학교에도 잠깐 다닐 수 있었다. 결국 갈 곳은 공장이었고 그래도 책을 가깝게 두고 지내는 걸 좋아했다. 평양에서 떠난 피난길은 서울에서 끝났지만 마음은 아직도 피난 중이다. 헤어지던 날짜에 달력은 멈춰 있다. 세월이 가면서 가슴 속에 쌓인 기억의 높이는 더 높아졌다. 처자식이 생겨도 뚫린 구멍은 메워지지 않았다. 남기고 싶은 욕심이 들었다. 그래서 적었다. 적을 수밖에 없었다. 웃을 것도 적고 울면서도 적었다.

1938년 11월 27일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주소는 深江區東四町目까지 기억한다.
1945년 조선인 강제소개로 4월에 부모님 따라 평양으로 돌아왔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일어났고 12월에 평양을 떠나 혼자서 피난을 떠났다.
1958년 결혼하고 아들을 낳았다.
1962년 육군에 입대하여 32개월 근무하고 64년 11월 28일 만기제대 하였다.
1967년 딸을 낳았다.
1976년 자궁암으로 아내를 잃었다.
1978년 재혼 하였다.
1979년 아들을 낳았다.
2000년 중기부속 사업 부도를 맞고 폐업하였다.
2001년 화물차 운전을 시작하였다.
2014년 나이를 고려하여 운전을 그만 두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POD] 이루지 못한 만남> - 2017년 3월  더보기

한 사람이 통과한 시간은 엄연한 사실입니다. 가시철망을 지났다면 피가 보일 것이고 꽃밭을 지났다면 향기가 남을 것입니다. 개인의 이야기가 개인으로만 끝날 수 없는 것이 그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열세 살에 혼자서 이남으로 피난을 떠난 저자는 그래도 살아남았습니다. 이제 팔십을 바라보는 나이에 적어 두었던 옛이야기를 책으로 묶었습니다. 가슴 속에만 담고 가기에는 마음이 허락하지 않는 이야기들이었습니다. 처자식하고도 나눌 수 없는 혼자만의 이야기를 이제 세상에 내 놓을 수 있어서 지은이는 마음이 가벼워집니다. 육십 년도 더 된 시간 뒤에 피난길을 떠나던 내가 들어 있고, 길 위에서 만난 피난민들은 아직도 생생하게 살아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익숙해지는 이남 생활에서 만났던 이런 저런 얼굴들, 여자들, 지내놓고 보면 이야기 끝에는 못 보고 헤어진 아버님과 어머님이 도사리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울어야 할 일도 많았지만 웃을 일도 많이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살았습니다. 질펀한 삶의 이야기를 북에 누워계신 부모님께 드려야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드릴 수 없는 말씀이라서 글이 된 한 사람의 무질서한 이야기 속에서 더 큰 것을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그날 그렇게 잠깐 헤어진 남북이 아직도 딴 세상이라는 걸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발길이 멈췄지만 이별이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는 걸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책 속에는 지금하고는 딴판으로 남북이 따로 없습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